티스토리 뷰
“청약 당첨됐는데, 갑자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됐대요. 이거 실거주해야 하나요? 분양권 팔 수는 있나요?”
최근 분양에 당첨된 예비 청약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바로 ‘토허제 재지정’ 소식 때문입니다.
실수요자는 설렘보다 걱정이 앞서고, 투자 목적의 청약자들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합니다.
갑작스러운 규제로 인해 내 집 마련 계획이 꼬일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토허제 재지정? 무주택자에게 기회일까, 위기일까?
문제는 단순히 ‘허가받아야 팔 수 있다’는 행정 절차에 그치지 않습니다.
‘토허제 재지정’이 되면 계약 후에도 실거주 의무가 생길 수 있고, 분양권 전매 제한까지 더해지면 자금 계획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무주택자 입장에서는 ‘청약 전략을 다시 짜야 하나’ 하는 고민도 생깁니다.
그렇다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되었을 때 무주택자가 알아야 할 핵심은 무엇일까요?
1. 실거주 요건 적용 여부
- 해당 지역이 재지정되면,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관할 구청의 허가가 필요하며, 허가를 받더라도 일정 기간 실거주 목적이 아니라면 매매가 제한됩니다.
- 예를 들어, 전용 85㎡를 초과하는 아파트를 분양받았다면, 무조건 2년간 실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전매가 가능합니다.
2. 전매 제한과 자금 계획
- 투자 목적으로 청약을 노렸다면, 전매 제한으로 인해 중도금 대출 상환이나 잔금 납부 시 자금 압박이 생길 수 있습니다.
무주택 라도 장기 실거주 계획이 없는 경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3. 기회가 될 수도 있다
- 반면, 무주택자 중 실거주 목적의 수요자라면 이는 경쟁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토허제 재지정’으로 인해 투기 필요성이 줄어든다면 당첨 확률이 오를 가능성도 생깁니다. 실수요자에게는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지금이야말로 청약 전략을 다시 짜야할 시기입니다. 정부의 규제 방향은 분명 ‘실수요 보호’입니다.
무주택 실수요자는 그 흐름에 맞춰 장기 거주 계획을 갖고 접근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리고 지역별 재지정 여부를 수시로 체크하며, 청약 전에 해당 지역의 토지거래허가 여부를 꼭 확인하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서울 전 지역이 토허제로 묶인 건 아니야?’ 하는 오해도 많습니다.
실제로는 특정 동이나 구 일부만 해당되는 경우도 있어요.
따라서 언론 보도나 커뮤니티 루머보다는 국토교통부 공식 자료나 관할 구청 공고를 통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지금 여러분이 분양권을 고려하고 있다면, 단순히 ‘청약 가점’이나 ‘입지’만 볼 게 아니라 ‘토허제 재지정’ 여부도 반드시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위기가 될 수도, 기회가 될 수도 있는 이 제도는, 정보를 아는 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청약 전에 한 번 더 꼼꼼히 따져보시기 바랍니다.